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부산시46

낙동강 하굿둑 최대 4개월 연다…올해 3∼4회 개방 계획 ◇ 1차 개방은 4월 26일부터 한 달간 실시, 실뱀장어 등 회유성 어종의 둑 내 이동 등 개방에 따른 환경변화 관찰 ◇ 올해 총 3~4차례 하굿둑 개방으로 장기변화를 분석하고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생태계의 바람직한 복원방향 설정 □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는 환경부(장관 한정애),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와 함께 낙동강 하구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 올해 낙동강 하굿둑을 장기간 개방한다고 밝혔다. ○ 이번 낙동강 하굿둑 개방은 이달 26일 1차 개방(4월 26일~5월 21일)을 시작으로 올해 3~4차례에 걸쳐 실시한다. 아울러 개방 기간 동안 낙동강 수량에 따른 여러 조건(갈수기, 풍수기 등)에서 기수생태계의 변화를 확인하고 중장기 생태복원방안을 마련한다. □ 그간 환경.. 2021. 4. 25.
부산시, 미세먼지 발생원 8곳에 차단숲 조성… 100억 원 투입 - 2025년까지 500억 투자… 미세먼지 차단숲 메카도시로 거듭난다! - ◈ 감만부두·경부선 철로변·감천항·명례산업단지 등 8곳 10.5ha에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 ◈ 도심 속 숲 조성으로 생활권 주변 미세먼지 차단·도시열섬 완화 등 쾌적한 생활환경 제공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미세먼지 증가에 따른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생활권 미세먼지 유입을 차단해 쾌적한 녹지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도심속 미세먼지 차단숲’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미세먼지 차단숲은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으로 꼽히는 도로변, 산업단지 등과 생활권 주변에 조성되어 도심 내 .. 2021. 4. 25.
- 영화 창의도시 부산, 차세대영상 글로벌 기술력 확보 - ETRI 부산공동연구실, 「사용자 선택형 입체미디어 서비스 기술」국제표준으로 채택! ◈ 국제 표준특허 창출을 통한 영상미디어 스트리밍 시장 기술우위 확보, 부산지역 영상 산업 시장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 ◈ 2025년까지 5G·UHD, 영화, 디지털 사이니지 등 다양한 매체별 테스트베드 구축, 세계 최초 사용자 선택형 UHD 입체미디어 스트리밍 시범서비스 부산 전역에 시험 송출 예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부산시가 지원하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 부산공동연구실의 연구진이 개발한 「사용자 선택형 입체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코드할당」이 지상파 디지털방송 표준위원회(ATSC)* 국제표준**으로 지난달 26일 최종 채택되었다고 밝혔다. * Advanced Television System .. 2021. 4. 23.
랜선 타고 BOF에 봅(BOF)며들다! - 확 달라진 2021 BOF(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 BOF랑 집에서 놀자! 랜선으로 돌아온 2021 BOF ◈ 홈 루덴스족 딱 기다려~ BOF 나가신다! ◈ BOF가 건네는 코로나 시대의 위로법, 랜선 페스티벌 ◈ 랜선 타고 오는 부산의 봅(BOF), 2021 BOF D-14 ◈ 2021 BOF D-14, 축제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다 2주 앞으로 다가온 2021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Busan One Asia Festival, 이하 2021 BOF)이 확 달라진 모습으로 한류 축제의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나섰다. 누구도 예상치 못한 코로나 시대. 코로나 19의 대유행과 장기화를 거치며 생긴 변화 중의 하나는 홈 루덴스족의 증가이다. 홈 루덴스란 호모 루덴스(Homo Ludens:놀이하는 인간)에서 파생한 신조어로, 홈(Home; 집)과 루덴스(Luden.. 2021. 4.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