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낙동강하구4

부산시, 낙동강하구 「드론 활용 모니터링사업」 본격 추진 - 낙동강하구 지형·식생 변화, 드론으로 샅샅이 관찰한다! - ◈ 지난해 드론 실증시범사업 결과, 모니터링 적용 가능성 확인… 조사범위 확대해 본격 추진 ◈ 드론 항공사진 통해 접근이 어렵고 광범위한 낙동강하구의 지형·식생 변화상을 효율적으로 조사… 낙동강하구의 건강한 식물생태계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이병진) 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낙동강하구에 형성된 사주섬, 갯벌 등의 지형과 식물 군락 변화상을 조사하기 위한 ‘드론 활용 모니터링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낙동강하구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생태계 안정성에 필요한 자료를 축적하기 위한 것으로, 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지난해 부산시 컨소시엄이 수행한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중 ‘낙.. 2021. 2. 24.
부산 낙동강 생태공원 조류 146종 2만7천여 개체 서식 확인 ◈‘20.1월~12월 기간, 가장 많은 개체는 청둥오리(19.9%), 큰기러기(12.6%)로 확인 ◈‘20.11월 기준, 큰고니 전국 7,479여 개체 중 45%인 3,384개체 낙동강하구 찾아 ◈ 멸종위기 야생동물 매, 저어새, 알락꼬마도요, 큰고니, 큰기러기 등 낙동강 생태공원서 관찰 부산시 낙동강관리본부 낙동강하구에코센터(이하 에코센터)에서는 2020년 한 해 동안 낙동강하구 생태공원을 중심으로 조류 조사를 한 결과 146종 27,606개체(최대 개체 수의 합)의 조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가장 많은 개체 수를 보인 종은 청둥오리(19.9%)이며, 다음은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인 큰기러기(12.6%)였다. 이번 결과는 낙동강하구의 6개 생태공원(을숙도철새공원, 을숙도생태공원, 맥도생태공원, 대저생태공.. 2021. 2. 9.
‘낙동강하구’맹금류의 낙원(樂園) 증명 ◇ 세계적 희귀조 항라머리검독수리 등 매목에 속하는 맹금류 15종 관찰 ◇ 다양한 최상위 포식자의 서식은 낙동강하구의 생태계 건강함을 나타내는 척도 □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이호중)은 철새 도래지인 낙동강 하구에 대한 생태계 변화 관찰 과정에서 최상위 포식자이며,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맹금류 15종의 서식을 확인하고, 주요 종의 영상자료를 공개했다. ○ 확인된 종은 매목(目) 매과(科)의 매‧새호리기‧황조롱이, 수리과(科)의 흰꼬리수리‧참수리‧독수리‧물수리‧항라머리검독수리‧말똥가리‧솔개‧흰죽지수리‧벌매‧알락개구리매·잿빛개구리매‧붉은배새매다. ※ 맹금류 : 다른 동물을 포식하는 조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매목, 올빼미목에 속하는 종을 말함 □ 야생생물보호법 상 매목에 속한.. 2021. 1. 18.
부산 국가지질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로 선정 - 강, 산, 바다를 아우르는 세계적 지질명소 - ◈ 환경부의 제25차 지질공원위원회 심의 결과, 부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 선정 가결 ◈ 2024년 세계지질과학총회(IGC)와 연계해 지역발전 견인 도모 기대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는 ‘부산 국가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신청을 위한 국내 후보지로 선정되었음을 지난 21일 환경부로부터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세계적인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명소와 경관을 보호, 교육,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으로 관리하는 곳으로 국내에는 제주도, 청송, 무등산, 한탄강 등 4곳이 있다. 이번에 후보지로 선정된 부산의 지질명소는 낙동강 하구, 금정산, 태종대, 오륙도 등 20곳이다. 부산시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 2020. 12.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