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자치 뉴스

서울식물원, 30일까지 '씨앗, 아름다움에 반하다' 사진전

by 지방자치24 2021. 4. 13.
728x90
반응형

- 2019년 업무 협약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과 4월 한 달 동안 협력 사진전 개최
- 토종자생식물 씨앗․꽃가루 등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확대 촬영한 34점 전시
- 복수초, 꼬리진달래 등 토종식물의 아름다움과 백두대간 식물 보전의 중요성 시사
- 시 "토종식물 가치 알리는 계기되길… 다양한 식물 관련 전시, 프로그램 선보일 것"

□ 꽃가루를 3,000배 확대해 보면 어떤 모습일까. 서울식물원에서 우리나라 자생식물 씨앗과 꽃가루를 현미경으로 확대 촬영한 사진 전시회가 열린다.

□ 서울시는 우리나라 토종자생식물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오는 4.30(금)까지 서울식물원에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협력 사진전 '씨앗, 아름다움에 반하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전시는 식물문화센터 1층 씨앗도서관과 프로젝트홀1에서 열리며, 10~17시까지 무료로 관람(월요일 휴관)할 수 있다. 

□ 지난 2019년 서울식물원과 업무 협약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소장한 사진 34점이 걸리는 이번 전시는 한반도 생태축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식물의 씨앗, 꽃가루를 확대 촬영한 작품사진을 선보인다.

  ○ 사진뿐만 아니라 백두대간이 우리나라 식물 생태계 보전에 주는 의미,  시드볼트(종자영구보전시설) 소개와 필요성 등을 설명하는 패널을 설치하여 식물, 식물 보전과 관련된 메시지도 함께 전달할 예정이다.

□ 물체 표면을 30만 배까지 확대할 수 있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 촬영한 사진으로 복수초, 얼레지, 개별꽃 등의 씨앗 확대 사진 20점과 개양귀비, 꼬리진달래, 산박하, 백운산원추리 등 꽃가루 사진 14점이 전시된다.

  ○ 금낭화․꼬리진달래 꽃가루 3,500배, 물봉선 화분은 5,500배까지 확대된 사진이 전시돼 육안으로 볼 수 없었던 씨앗과 꽃가루의 형태, 돌기, 융모까지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 아울러 전시가 이뤄지는 씨앗도서관에서는 '토종씨앗 대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조선녹두, 북대기콩, 배초향, 목화 등 종자 40여 종 중 원하는 씨앗을 빌려가 채종 후에 반납하면 추가로 대출받을 수 있다.

  ○ 씨앗봉투 당 3~10개 정도의 씨앗이 들어있으며, 반납이 의무는 아니지만 더 많은 시민에게 씨앗을 대출해 주기 위해 씨앗도서관은 연중 씨앗을 반납 및 기증받고 있다. 

□ 서울식물원은 국내․외 식물원, 수목원을 비롯한 연구․교육기관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식물 관련 전시, 교육, 연구 등 다방면으로 교류하며 공립 식물원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다. 

  ○ 2019년 12월에는 고양어린이박물관과 협력 전시를 진행하기도 했으며 올해 3월에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시드볼트에 종자 500점을 기탁하는 등 식물, 식물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기관과 활발히 교류 중이다.

□ 서울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서울식물원 온실 입장 가능인원 30% 수준(200명)으로 운영 중이다. 때문에 주말 오후에는 대기줄이 발생하므로 평일, 주말 오전(09:30~13:00)에 방문하면 쾌적하게 관람할 수 있다.

□ 한정훈 서울식물원장은 "이번 전시가 우리나라 토종자생식물의 소중함과 가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국내․외 기관과 지속 교류하여 다양한 형태의 식물 관련 전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