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부가가치 선종 100% 수주로 우리나라 조선업 ‘21년 청신호 출발

by 지방자치24 2021. 2. 9.
반응형

 

 

- ‘21.1월 全 세계 발주량 51.7% 수주, ’20.10월 이후 세계 1위 지속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성윤모)는 우리나라 조선업이 올해 첫 성과로 ‘21.1월 선박 수주량에서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고 밝혔음. 

□ ‘21.1월 全 세계 발주량* 180만CGT 중 93만CGT를 우리나라가 수주하여 전체 선박 발주의 51.7%를 차지하였으며(’20.1월, 4.4%),

    * 컨테이너선 32척, 벌커 11척, LNG선 2척, 탱커 2척 등 총 70척

 ㅇ 이는 전년 동월대비 12배 증가한 수치(‘20.1월 7만CGT)로, 이번 성과를 통해 ’20.10월 이후 4개월 연속 수주량 세계 1위를 수성할 수 있었음.

 

<글로벌 발주 및 한국 수주량(만CGT, 비중, 2.7일 클락슨 기준)>

구 분

’20년

‘21년

9월

10월

11월

12월

1월

글로벌발주

82

204

207

417

180

한국수주

37

(45.1)

99

(48.5)

119

(57.4)

288

(69.1)

93

(51.7)

중국수주

42

(51.2)

96

(47.1)

81

(39.1)

117

(28.1)

60

(33.3)

 

□ 주요 경쟁국인 중국과 비교하였을 때, 수주량은 1.6배, 수주금액은 2.2배로 수주량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주금액을 달성하였으며,


 ㅇ 이는, 대형 컨테이너선(1.2만 TEU↑) 8척 중 8척, VLCC(20만DWT↑) 2척 중 2척, LNG선(174km3↑) 2척 중 2척 등 세계 고부가가치 선박 발주량을 모두 우리나라가 수주한 결과로,

 ㅇ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경쟁국 대비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선종에 대한 경쟁우위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됨

 

<21.1월 수주량, 수주금액, 수주잔량(2.7일 클락슨 기준)>

1위

2위

3위

4위

수주량(CGT)

한국(93)

중국(60)

일본(27)

-

수주금액(억불)

한국(21)

중국(9.4)

일본(5.6)

-

수주잔량(CGT)

중국(2,516)

한국(2,158)

일본(835)

이탈리아(363)

 

□ 또한, 최근 운임강세*로 컨테이너선이 발주량(90만CGT)**이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20년 코로나19로 지연된 선박발주 회복 및 최근 물동량 증가로 상반기 컨테이너선 발주량 확대추이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 864(’18.12) → 899(‘19.12) → 2,456(’20.12) → 2,862(‘21.1)
   ** ‘21.1월 전체 선박발주량중 50% (‘20년 전체발주량 중 컨테이너선 비중 : 20.3%)

 ㅇ ‘21.1월 우리나라 컨테이너선 수주비중이 51%(46만CGT)인 점을 고려할 때, 상반기 국내 수주량은 양호할 것으로 예상됨. 

□ 한편, 산업부는 우리나라 조선업계가 세계 1위를 수성할 수 있도록 미래선박인 스마트 선박 및 친환경 선박 新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ㅇ 스마트·친환경 선박 등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을 지속하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한국형 야드 개발에도 지원할 예정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