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4(일)까지 열려… 코로나19 상황 속 생명의 가치, 공존의 메시지 전달
- 여성․생태주의 시각의 작가 정정엽 <싹>, <씨앗 얼굴> 등 작품 45점 선보여
- 식물문화센터․마곡문화관서 ▴살림의 미학 ▴생명의 씨앗 등 세 섹션 나눠 전시
- 시 "식물 연관된 다양한 예술 작품 전시 통해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다가갈 것"
□ 식물뿐만 아니라 식물과 연관된 다양한 예술 작품 전시를 통해 도시 속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은 서울식물원이 2021년 새 전시를 연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지켜나가야 하는 '생명의 가치'를 주제로 식물의 생명력, 공존의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 서울시는 4.21(수)부터 흔하지만 소중한 우리 주변의 생물, 생명력을 그리는 작가 정정엽의 개인전 <정정엽 : 조용한 소란>을 서울식물원에서 개막한다고 밝혔다.
○ 전시는 식물문화센터, 마곡문화관에서 오는 10.24(일)까지 열릴 예정이며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이번 전시에서는 1991년 완성한 ‘어머니의 봄’부터 ‘옐로우빈 풍경(2020)’, ‘축제10(2021)’ 등 최근 작품까지 작가 정정엽(1962년 생)이 30여 년 간 작업해 온 다양한 작품 45점을 선보인다.
○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 정정엽은 여성주의, 생태주의적 시각을 바탕으로 회화, 설치, 퍼포먼스 등 여러 분야를 넘나들며 다채로운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 정정엽 : '조용한 소란' > | |
![]() |
![]() |
![]() |
![]() |
![]() |
![]() |
![]() |
![]() |
□ 전시는 크게 ▴살림의 미학 ▴생명의 씨앗 ▴공존이라는 문제, 세 섹션으로 나뉘어 열린다.
□ 프로젝트홀2(식물문화센터 2층)에는 ▴살림의 미학, ▴생명의 씨앗 섹션의 작품 24점이 전시되는데 여성의 노동, 살림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바탕으로 창작된 여러 작품을 만날 수 있다.
○ 냉이, 달래, 고들빼기 등 주로 밥상에서 나물로 접해온 식물이 선명한 색상과 역동감 있는 작품으로 다시 태어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 우리에게 흔한 먹거리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생명을 품은 씨앗이기도 한 콩, 팥, 녹두 등 곡식을 사람의 얼굴이나 산, 달, 밤하늘로 표현한 작품을 통해 곡식 한 알 한 알이 모여 전하는 강인한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 마곡문화관에는 비교적 최근인 2014년 경부터 그려온 작품이 걸리는데 <싹>, <나방> 등 소외되거나 버려진 존재에 대한 단상이 담긴 섹션 '▴공존이라는 문제'에 해당하는 21점이 전시된다.
○ 이곳에는 도시, 건물, 매연 등 인간중심적 환경과 사고 속에서 잊히고 희생되는 생명체를 그린 작품이 주를 이루는데 모두가 아름다운 나비를 그릴 때 나방에 주목한 작가의 시선에서 따스함을 느낄 수 있다.
□ 한정훈 서울식물원장은 "이번 전시가 코로나19 상황 속 생명의 소중함과 가치에 관심을 갖고 공감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 식물뿐 아니라 다양한 예술 작품 전시를 통해 식물문화 저변을 확대하고 선도하는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지방자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제38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 개최 (0) | 2021.04.21 |
---|---|
“과태료 안 내면 구치소에 감금됩니다” - 경기도, ‘감치’ 경고에 176명 37억원 체납 정리됐다 (0) | 2021.04.21 |
한반도 자생생물, 무엇이 있을까? 자생동식물 세밀화 특별기획전시 (0) | 2021.04.20 |
인천 서구, 생물자원관과 함께 생태·환경 수종 보급 앞장선다 (0) | 2021.04.20 |
회, 초밥 수산물 진짜인지 궁금하다면…유전자에게 물어봐! (0) | 202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