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토교통부78

서부권 2기 신도시(김포한강, 인천검단) 교통개선 대책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김포골드라인의 높은 혼잡도 및 검단신도시 입주(’21.6월~) 등으로 교통여건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았던 서부권 2기 신도시(김포한강신도시, 검단신도시) 에 대해, ㅇ 철도․버스․도로 등 종합적인 교통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및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 등에 반영하기 위한 관련 위원회 심의*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금일 ‘철도산업위원회’ 심의 완료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 진행 중 서부권 2기 신도시의 교통개선 대책은 ➊철도의 접근성 향상을 우선으로 하되,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는 ➋버스의 편의성 제고와 ➌도로․환승센터 등 인프라 확대 방안을 종합하여 마련하였다. 서부권광역급행철도 (장기.. 2021. 6. 29.
110년 만의 일제 청산, 국제표준 적용으로 지적공부의 품질과 신뢰성을 높여가겠습니다 - 일본 동경(東京) 측지계 기준→ 세계 표준 측지계 기준으로 변환 완료 - 포털지도·내비게이션 등 생활 속 공간정보 대국민 서비스 향상 기대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지적도면 약 70만장의 위치기준을 일본의 동경 측지계*에서 세계 표준의 측지계로 변환작업을 완료한 후, 6개월에 걸쳐 지적공부** 등록을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 측지계(Geodetic Datum)란 지구의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여 곡면인 지구상 지형‧지물의 위치와 거리를 수리적으로 계산하는 모델로서 각종 도면 제작의 기준을 말함 ** 지적공부란 지번, 지목, 면적, 좌표 등 토지의 표시와 해당 토지의 소유자 등을 기록한 대장 및 도면을 말하며, 시‧군‧구별로 보관 관리하고 있는 공적장부 ◦ 동경측지계는.. 2021. 6. 29.
보다 정확한 위치결정 기술로스마트폰의 위치정확도를 높인다. ‘스마트폰에서 1m 이내 정확도의 위치정보 확인 가능’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사공호상)은 ‘20년 10월부터 제공하고 있는 새로운 방식의 GNSS 보정정보(SSR*)을 스마트폰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개발한 위치보정정보 적용 기술을 6월 16일부터 공개한다. * (기존 방식(OSR)) 모든 보정정보 활용, 고가의 전문가용 GNSS 측량기기에 사용 ** (새로운 방식(SSR)) 필요한 보정정보만 활용가능하여 데이터량이 작음, 보급형 GNSS기기인 스마트폰 및 드론, 자율차 등에서 활용 가능 ㅇ 공개하는 기술은 연구개발 결과 및 SSR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활용하기 위한 ①디코딩 기술, ②개발자용 매뉴얼로써, ㅇ 해당 기술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위치정보 서비스(지도, 네비게이션 .. 2021. 6. 15.
국민 삶 속으로 날아오르는 드론, 안전성·활용도 높인다 K-드론시스템 실증 지원 사업자(7개 기관) 선정 - 공항, 도심, 장거리·해양배송 분야…총 7억 1,000만원 규모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드론의 안전성을 높이고 사업영역 확장을 지원하기 위한 ‘K-드론시스템’의 실증사업 수행 사업자를 선정하였다. ㅇ K-드론시스템은 드론의 비행계획승인, 위치정보 모니터링, 주변 비행체와의 충돌방지 기능을 하는 드론교통관제시스템이다. ㅇ 실증사업 수행자는 연구개발(R&D) 과제로 개발된 기술 중 드론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통신장비와 웹기반 드론비행허가 시스템을 실생활 영역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이번 ‘K-드론시스템’의 실증사업 수행 사업자는 국민의 관심이 높고, 실제 사업화 가능성이 큰 분야(공항, 도심, 장거리․해양 등)를 중심으.. 2021. 6.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