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체수율 기준 새로 설정…이전 조사보다 한우 85kg 돼지 14kg 정도 증가-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국가 단위 고기 생산량 예측에 필요한 ‘소‧돼지 도체 *수율’ 기준을 지난 1997년에 이어 23년만인 2020년에 새롭게 설정했다고 밝혔다.
* 도체 : 가축을 도살한 다음 머리, 가죽, 내장 등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
○ ‘소‧돼지 도체수율’ 기준은 가축 1마리에서 얻을 수 있는 고기, 지방, 뼈 등의 생산 비율을 체중·성(性)·등급 등에 따라 산정해 놓은 자료를 말한다.
○ 그동안 가축 개량 및 사양기술의 발달로 출하체중이 증가했고 도체 특성이 변화되어 최근 출하경향을 반영한 도체수율 자료가 필요했다.
□ 새롭게 설정된 한우 도체수율 기준에 따르면 평균 출하체중 696kg인 소에서 살코기량은 평균 273.4kg(거세한우 270.41kg, 수소 296.1kg, 암소 265.04kg)이었다.
○ 주요 부위별로 보면 △갈비 53.87kg △양지 40.79kg △등심 34.80kg △안심 7.45kg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 1997년과 비교하면 평균 출하체중은 (’97) 506kg→(’20) 696kg으로 190kg 증가했고, 고기 생산량은 1997년보다 83.21∼87.63kg(거세한우 83.21kg, 수소 87.63kg, 암소 85.6kg) 늘어났다.
○ 같은 시기 1인당 소고기 연간 소비량도 (’97) 7.9kg→(’19) 13kg으로 늘어났다.
□ 돼지 도체수율 기준에 따르면 평균 출하체중 116kg인 돼지에서 살코기량은 평균 62.47kg(거세돼지 61.84kg, 암퇘지 63.04kg) 이었다.
○ 부위별 고기 생산량은 △뒷다리 19.53kg △삼겹살 14.20kg △앞다리 10.83kg △목심 5.02kg이 나오는 것으로 조사됐다.
○ 1997년과 비교하면 평균 출하체중은 (’97) 102kg→(’20) 116kg으로 14kg 증가했고, 고기 생산량은 1997년보다 14kg(거세돼지 14.31kg, 암퇘지 14.04kg) 정도 늘어났다.
○ 같은 시기 1인당 돼지고기 연간 소비량도 (’97) 15.3kg→(’19) 26.8kg으로 증가했다.
□ 소‧돼지 도체수율이 과거에 비해 많이 변화된 이유는 그동안 보증씨수소 선발‧씨돼지 개량, 가축사양표준 개정, 가축 유전체 선발 기술 적용 등 가축 개량 및 사양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출하체중과 도체특성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 한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이번 도체수율 기준 설정을 위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8개도 농가에서 한우 314마리**와 돼지 380마리***를 구입해 조사‧분석했다.
** 암소 126마리, 수소 65마리, 거세소 123마리
*** 암퇘지 180마리, 거세돼지 200마리
○ 이번 소‧돼지 도체수율 기준은 책자로 발간돼 축산농가, 축산물유통업체 등에 배부될 예정이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에서 파일로 내려 받아 볼 수 있다.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진형 축산물이용과장은 “이번 도체수율 기준 설정에 따라 국가기관은 고기 수급 예측을 위한 정책에 활용, 축산농가는 비육 체계 개선 및 적정 출하시기 결정, 유통업체는 도체 구입 및 판매 시 정육과 부산물 공급량 예측 자료로 각각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한우를 키우는 손영수 씨(전라북도 정읍시)는 “한우를 출하할 때 도체중을 어림잡아 계산했는데, 이제는 최근 출하경향을 반영해 새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더욱 정확한 도체수율을 추정할 수 있게 돼 농가 소득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공공기관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층적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도약” (0) | 2021.04.21 |
---|---|
창덕궁 규장각 곁, 책 향기에 취하다 (0) | 2021.04.21 |
농촌진흥청, 고효율 단열 소재 ‘에어로겔’ 이용 다겹보온커튼 개발 (0) | 2021.04.21 |
머위, 취나물 등 총 4건 잔류농약 기준 초과 (0) | 2021.04.21 |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지 15곳 선정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