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개방으로 드러난 모래톱에서 번식 중인 둥지 2곳 발견
◇ 하천의 생태환경 영향 등을 고려하여 보 개방·운영 중
□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낙동강 합천창녕보 개방 후 상류에 조성된 모래톱*에서 번식 중인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흰목물떼새의 둥지 2곳과 부화한 새끼새 7마리를 최근 확인했다고 밝혔다.
* 하천의 물흐름과 물질 이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지형으로, 자연적 경관, 배수·유량조절, 수질정화, 생물의 서식·번식공간 등의 기능 수행
○ 환경부는 올해 4월 합천창녕보 수위 조절에 앞서 이곳 일대의 생태계 영향 조사를 했으며, 보 상류 구간에서 흰목물떼새가 번식 중인 것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흰목물떼새 둥지와 새끼새 보호를 위해 합천창녕보 수위 등 운영계획을 조정*했다.
* 당초 수위 조절 계획: EL.9.2m → 10.5m(4.26∼) / 변경 계획: EL.9.2m → 10.3m(흰목물떼새 번식기(4 ∼ 5월) 이후 수위 상승)
○ 흰목물떼새는 국제적으로 보호를 받는 종으로 국내에서는 드물게 발견되고 있으며, 하천 변에 조성된 모래톱·자갈밭에 둥지를 짓고 알을 낳는 특성이 있다. 하천이 개발되고 모래톱이 감소하면서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세계적색목록(Red list)에 등재된 관심(Least Concern, LC) 종이며, 한국 국가생물적색목록은 취약(Vulnerable, VU) 종으로 지정
□ 지난해 5월 합천창녕보 상류 모래톱 구간에서 번식 중인 흰목물떼새 성조(成鳥) 4마리와 둥지 2곳이 조사된 이후, 올해도 알과 새끼를 품고 있는 어미새 등 5마리의 성조와 둥지가 발견되었다.
○ 또한, 올해 조사에서 흰목물떼새와 유사한 생태적 특성을 가진 꼬마물떼새의 성조와 둥지도 함께 발견되었는데, 이는 보 개방 후 수변에서 먹이활동과 번식을 하는 물떼새류가 살아가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었음을 의미한다.
○ 흰목물떼새는 알을 낳은 후 약 한 달간 품으며, 새끼새는 일반적으로 부화 후 한 달 이내에 독립한다. 성조의 번식 활동은 이르면 3월 말부터 시작하여 5월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호중 환경부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부화가 확인된 흰목물떼새는 전 세계 약 1만 마리에 불과한 국제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멸종위기종”이라며, “멸종위기종뿐 아니라 강변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다양한 생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를 개방·운영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공공기관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특화 골목상권 조성으로 지역 소상공인 코로나19 회복을 지원한다 (0) | 2021.05.02 |
---|---|
교통량 실시간 분석하고 긴급차에 우선신호 보내는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 전국으로 확대 구축합니다 (0) | 2021.05.02 |
2021.1분기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주요 제재 사례 (0) | 2021.05.01 |
분묘기지권자에 의한 토지소유권자에게 지료 지급의무는? (0) | 2021.05.01 |
한·러 어업협상 타결, 업계 요구 어획할당량 반영 (0) | 2021.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