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 농식품 분야 우수 인재 32,000명 양성 본격 추진

지방자치24 2021. 1. 17. 19:29
반응형

 

- 2021년 농식품 교육훈련계획 수립·운영 -

 

 

주 요 내 용

 

 

 

디지털 교육기반 조성 및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통한 인재양성 추진

 ◦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 집합교육 중 27.5%원격교육 편성, 사이버 콘텐츠 개발, 원격교육 전용 스튜디오 설치 등 기반 마련

 ◦ 교육품질 개선을 위해 20.3%신규과정으로 개발, 사이버 및 집합교육을 연계한 혼합교육(Blended-learning) 운영으로 교육효과 제고

 ◦ 우수강사 확보를 위한 누리집 강사지원·추천 메뉴 개설, 강사공모제 실시, 강사 목록(Pool) 구축 등 강사모집 다양화 추진

 ◦ 교육 시너지 효과제고시키기 위해 교육운영 전담부서의 운영체제를 팀제로 전환하여 시범적으로 운영

 ◦ 공무직, 장기재직자 교육과정 신설 등 교육 사각지대 최소화

4전략목표 달성 및 농정과제 성과창출을 위한 현장중심 교육실시

 ◦ 공직가치 확산, 사람중심 교육, 정책전문가 양성, 소통·상생

교육기관과 소통·협력,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열린교육 실시

 ◦ 교육기관간 협약체결인재양성, 시설 및 우수기관 모범사례 공유

 ◦ 지역주민, ··고 학생 대상 농업·농촌 체험프로그램 운영

교육운영계획: (‘20) 153개 과정, 32천명 (’21) 162개 과정, 32천명

 

 농식품공무원교육원(원장 김덕호, 이하 교육원’)2021년 농식품 교육훈련계획을 발표하면서 올해는 농정과제 추진을 받침할 수 있는 농식품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162개 과정, 32,000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집합교육이 어려운 환경에서 전체 교육 운영횟수의 27.5%를 원격교육으로 사전 편성하고, 27,000명을 대상으로 62개 과정사이버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할 계획이며,

 

- 이를 위해, 직원대상 콘텐츠(Micro-learning) 경진대회, 우수 동영상 제작, 사이버콘텐츠 신규 및 갱신 개발, 원격교육 운영 담당자 지정 운영, 원격교육 전용 스튜디오 설치 등 원격교육에 필요한 스마트 교육 기반 마련

 

- 교육품질 개선시키기 위해 최근 농정 현황 등을 반영하여 20.3%신규과정으로 개발하고, 사이버교육과 집합교육을 연계한 혼합교육(Blended-learning)을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제고

 

- 농식품분야 우수강사 확보를 위한 누리집 강사지원·추천 메뉴 개설, 강사공모제 실시, 강사 목록(Pool) 구축 등 강사모집을 다양화

 

- 교육에 대한 상승효과제고시키기 위해 교육운영 전담부서의 운영체제를 팀제로 전환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교육 소외계층인 공무직, 장기재직자가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과정을 신설하여 교육 사각지대최소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한, 4대 전략목표 달성 및 농정과제의 성과창출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농식품 공직가치 확산, 사람중심 교육체계 확립, 농업·농촌 정책전문가 성 및 소통과 상생의 열린 교육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첫째, 농식품 공직가치와 국정철학,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을 위하

 

- 탄소중립,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적극행정 실천, 건전한 노사관계 정립 등의 공직가치 및 국정철학 교육을 기본교육에 편성하고 13개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 우리음식의 재발견, 농업유산의 이해, 치유농업, 4차 산업혁명 농업 등 농업·농촌의 공익적·다원적 가치 전파를 위하여 14 과정을 각각 편성하였다.

 

둘째, 사람중심의 역량개발 교육체계 구축을 위하여 농식품 공직자, 유관기관 종사자 및 농업인리더를 대상으로

- 직급별 역량교육, 유관기관 관리자 역량강화, 여성농업인 리더십 아카데미 과정 등 21개 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셋째, 농촌이 한국판 뉴딜의 핵심공간이 되도록 하고 농업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농업·농촌 정책 전문가 양성을 위하여

 

- 소셜미디어와 농산물 유통, 동물복지 매니저, 농정현장과 소통하기 과정 등 61개 과정을 운영한다.

 

넷째, 농식품분야 교육기관과 소통·협력하고, 인근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열린 교육을 추진하기 위하여

 

- 농식품 교육기관 간 인재 양성, 시설 공유, 우수기관 모범사례 등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협약(MOU)을 체결하고, 지역주민과 학생을 대상으로 가족과 함께하는 농업·농촌 체험교육, 중학생 진로체험 강좌 등 5개 과정을 편성 운영한다.

 

 마지막으로 김덕호 원장은 교육원이 2020년 인사혁신처 주관, 중앙부처 우수 교육훈련기관으로 선정된 것에 대하여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한편, 사람과 환경이 중심이 되는 가슴 따뜻한 농정, 더불어 잘 사는 농업·농촌을 만들어 가는 농식품분야 인재 키우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선도적인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다.


[붙임 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