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생활사박물관, 7080세대 그 때 그 시절 <경춘선, 엠티의 추억>展
- 경춘선의 개통부터 7080세대의 여행과 엠티 문화 조명, 6. 8.(화) 서울생활사박물관에서 개막 - 1987년 강촌 엠티 사진을 재현한 민박집과 캠프파이어 영상으로 그 시대의 감성 선사 - <춘천 가는 기차> 가수 김현철의 인터뷰 영상을 통해 경춘선 추억에 공감 불러 일으켜 - 전시관람은 사전 예약제로 일 90명 예약 가능. 10.3.(일)까지 무료 관람 - 전시 연계 특별강연<청년들의 야외나들이, 그리고 엠티>온라인 진행 |
서울생활사박물관 인근의 명소가 된 ‘경춘선숲길’을 달렸던 경춘선과 서울사람들의 기차 여행과 엠티 문화를 돌아보는 「경춘선, 엠티의 추억」 기획전시를 오는 10월 3일(일)까지 서울생활사박물관에서 개최한다.
경춘선숲길을 걸으며 열차가 달렸던 찬란했던 시절, 근교 여행지이자 엠티의 명소였던 대성리, 청평, 강촌 등으로 떠났던 기차 여행과 엠티의 낭만과 추억을 소환하는 전시이다.
철길이 이어지는 전시장 입구의〈도입 영상>은 소리를 내며 달리는 기차와 스쳐지나가는 풍경을 연출하여 지나간 낭만과 추억을 이야기 한다.
전시장으로 들어가자마자 마주하는 청량리역과 1982년도 광장의 영상, 기차 차창 밖으로 지나가는 강촌의 풍경, 모닥불과 노래와 젊음이 있는 캠프파이어의 영상을 통해 엠티의 감성을 담았다.
전시 구성는 다음과 같다. 청량리역, 통일호 열차 안, 민박집으로 나누어 보여주며, 70~80년대 사진, 영상과 유물을 통해 경춘선의 담긴 여가와 청춘 문화를 드려다 볼 수 있다.
○ 7080세대의 엠티의 추억을 담고자 그들의 이야기와 함께1987년 홍익대 동아리 ‘뚜라미’의 강촌 엠티 사진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연출과 영상이 전시되어 있다.
① 1939년 7월, 서울과 춘천을 잇는 열차의 개통
○ 경춘철도 관련 유물 및 지도, 서울 지역에 위치한 정거장과 인근의 옛 사진 및 관련 유물을 함께 만나볼 수 있다.
왼편으로는 고등상업학교, 바른편 임업시험장을 바라 보며 달리니 닿는 곳이 월곡정류장이다. …바른편으로는 의릉 송림을 끼고 한참 나가니 여기가 경원선과 교차되는 연촌역이다. …연촌역에서 조금 나가서 왼쪽 송림사이의 약간 높은 곳이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와 경성광산전문학교의 신축예정지라 한다.
- 〈경춘연선 차창 스케치〉, 《조선일보》 1939년 7월 25일
② 서울사람들의 근교여행지인 청평과 강촌으로 가는 알뜰 여행 기차
○ 여행의 설렘을 담은 만남의 장소인 청량리역 광장과 통일호 열차에 담긴 1970~80년대의 추억 속으로 들어가 본다. 청평·가평·강촌 등의 명소는 도시락과 기차표만 있으며 알뜰한 여행을 즐길 수 있었던 근교여행지코스이자 도시를 벗어나 떠나는 야유회, 수련회, 엠티의 장소로 인기가 높았다.
③ 1970~80년대 경춘선 열차를 타고 떠났던 엠티의 추억
○ 경춘선 통일호 열차는 젊은이들을 강촌역으로 데리고 간다. 경춘선은 노선이 짧아 식당칸이 없었는데 이를 대신하던 간식 카트 추억과 함께 기차 안 기타 반주에 맞춘 <여행의 떠나요> 노래와 끝없이 펼쳐지는 차창밖 풍경으로 기차 여행의 낭만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 홍익대학교 창작곡 동아리 ‘뚜라미’의 1987년 강촌 엠티의 사진들로 꾸며진 강촌 민박집의 모습과 청춘들이 모이면 그곳이 어디든 함께 불렀던 당시의 노래, 캠프파이어 영상을 통해 당시의 정취까지도 느낄 수 있도록 전시를 구성하였다.
④ 경춘선 숲길을 걸으며 느끼는 <춘천 가는 기차>의 감성의 공감
○ 경춘선은 ‘아무 계획도 없이 무작정’ 일상을 벗어나는 일탈이었으며, 젊은이의 이상향이었던 ‘춘천으로 나를 데리고 가는’ 열차였다. 가수 김현철의 인터뷰는 <춘천 가는 기차>(김현철 작사 작곡, 1989)에 담긴 그 시절의 감성을 들려준다.
서울역사박물관 배현숙 관장은 “청량리역에서 만나 대성리, 강촌 등 엠티와 여행을 떠났던, 경춘선의 찬란했던 시절을 되돌아 보며, 이번 전시는 1970~90년대 한번쯤 떠나봤던 ‘경춘선, 엠티의 추억’으로 이끌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기획전시 연계한 특별강연도 마련했다. 이영미(대중예술연구자)의 <청년들의 야외나들이, 그리고 엠티>를 주제로 대중가요와 엠티 문화에 대한 강의를 오는 7월 12일부터 홈페이지와 유튜브를 통해 만날 수 있다.
전시관람은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하루 최대 90명이 예약 관람이 가능하다.
○ 운영시간 : 일 3회, 회당 2시간 관람 가능
(1회차:10시~12시/2회차:13시~15시/3회차:16시~18시)
○ 접수인원 : 일 90명(회당 30명) ※1인당 최대 4명 접수
○ 예약방법 :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https://yeyak.seou.go.kr)
전시 기간은 6월 8일(수)부터 10월 3일(일)까지이고,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울생활사박물관(☎ 02-3399-2900)으로 문의하거나 서울생활사박물관 홈페이지(museum.seoul.go.kr/sulm)를 참고하면 된다
○ 온라인 전시 관람객들을 위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VR 온라인 전시와 전시 도록(E-book)을 제작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지방자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시 월미공원 둘레길 산수국과 함께하는 힐링산책 (0) | 2021.06.08 |
---|---|
서울시, 25년 후 서울의 도시풍경은?「미래서울 도시풍경」전시회 (0) | 2021.06.08 |
서울시, 코로나 시대 전통시장 돌파구 ‘온라인장보기’ …1년새 매출 63억원 (0) | 2021.06.07 |
영화·드라마 속으로 떠나볼까! - 경남지역 영화·드라마 촬영지는 어디? (0) | 2021.05.27 |
파주 갈곡리 성당 등 경기도 등록문화재(근대문화유산) 12건 등록 예고 - ‘1호 경기도 등록문화재’는 10월 최종 결정 (0) | 2021.05.27 |